/ 창작 과정 기록하기

/ 창작 과정 기록하기

창작 과정 기록하기

창작 과정 기록하기

AI 창작노트 작성 가이드라인

AI 창작노트 작성 가이드라인

AI로 음악을 만들다 보면, 다양한 실험과 시도, 때로는 실패를 거치며 자신만의 방식이 만들어집니다.

AI로 음악을 만들다 보면, 다양한 실험과 시도, 때로는 실패를 거치며 자신만의 방식이 만들어집니다.

이런 창작의 흔적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하나의 중요한 작품 요소가 됩니다.

이런 창작의 흔적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하나의 중요한 작품 요소가 됩니다.

전통적인 예술에서 재료를 탐색하고, 실험하고, 그 과정을 기록하는 일이 창작의 일부였듯,

전통적인 예술에서 재료를 탐색하고, 실험하고, 그 과정을 기록하는 일이 창작의 일부였듯,

AI를 활용한 작업에서도 어떤 도구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무엇을 시도했고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남기는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AI를 활용한 작업에서도 어떤 도구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무엇을 시도했고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남기는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창작노트는 단순한 회고를 넘어 작가의 상상력과 의도가 어떤 흐름을 통해 구현 되었는지 보여주는 소중한 작업의 자산이 됩니다.

이러한 창작노트는 단순한 회고를 넘어 작가의 상상력과 의도가 어떤 흐름을 통해 구현 되었는지 보여주는 소중한 작업의 자산이 됩니다.

또한 자동화 되지 않은 나만의 고유한 창작 방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가 되어줍니다.

또한 자동화 되지 않은 나만의 고유한 창작 방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가 되어줍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창작 과정을 기록하는데 도움이 될 간단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창작 과정을 기록하는데 도움이 될 간단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물론, 앞으로의 창작 활동에서도 AI 창작 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공모전은 물론, 앞으로의 창작 활동에서도 AI 창작 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아이디에이션

아이디에이션

  1. 나로부터 시작하기

  1. 나로부터 시작하기

이번 작품을 창작하게 된 나만의 계기와 창작 의도는 무엇이었는지 정리해보는 단계입니다.

이번 작품을 창작하게 된 나만의 계기와 창작 의도는 무엇이었는지 정리해보는 단계입니다.

나의 관심사, 개인적인 경험, 혹은 질문 등 어떤 것이 이번 창작의 출발점이 되었나요?

나의 관심사, 개인적인 경험, 혹은 질문 등 어떤 것이 이번 창작의 출발점이 되었나요?

작품을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 떠올린 이미지나 소리는 무엇이었는지 문서나 그림, 수기 등 편한 형태로 기록해주세요.

작품을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 떠올린 이미지나 소리는 무엇이었는지 문서나 그림, 수기 등 편한 형태로 기록해주세요.

창작 - 소통하기

창작 - 소통하기

  1. 나의 생각을 AI에게 전달하기

  1. 나의 생각을 AI에게 전달하기

AI에게 나의 기획 의도를 전달하며 대화를 시도한 과정을 기록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AI에게 나의 기획 의도를 전달하며 대화를 시도한 과정을 기록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먼저, 사용한 AI 툴의 이름과 버전을 적고 어떤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적습니다.

먼저, 사용한 AI 툴의 이름과 버전을 적고 어떤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적습니다.

예시)

예시)

  1. 음원 생성: Suno AI v3.5 / Soundraw

  1. 음원 생성: Suno AI v3.5 / Soundraw

  1. 이미지 생성: ChatGPT-4 / Midjourney v6

  1. 이미지 생성: ChatGPT-4 / Midjourney v6

  1. 가사 생성, 영문 번역, 프롬프트 작성 도움: ChatGPT-4

  1. 가사 생성, 영문 번역, 프롬프트 작성 도움: ChatGPT-4

그런 뒤, 입력한 프롬프트 값을 기록합니다. 번역해서 영문으로 사용할 경우 원문도 함께 기록하면 더 도움이 되겠지요!

그런 뒤, 입력한 프롬프트 값을 기록합니다. 번역해서 영문으로 사용할 경우 원문도 함께 기록하면 더 도움이 되겠지요!

그리고 반드시 입력한 프롬프트에 대한 결과물이 어떻게 나왔는지도 함께 기록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입력한 프롬프트에 대한 결과물이 어떻게 나왔는지도 함께 기록합니다.

기록은 스크린샷, 동영상 녹화 등 편한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결과물도 버전 별로 함께 저장해두면 좋겠지요.

기록은 스크린샷, 동영상 녹화 등 편한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결과물도 버전 별로 함께 저장해두면 좋겠지요.

예시)

예시)

[Prompt_v1]

[Prompt_v1]

원문) 몽환적인 분위기의 앰비언트 음악을 만들어줘. 바닷소리와 느린 리듬, 부드러운 피아노와 은은한 신스가 들어갔으면 해.

원문) 몽환적인 분위기의 앰비언트 음악을 만들어줘. 바닷소리와 느린 리듬, 부드러운 피아노와 은은한 신스가 들어갔으면 해.

Create a dreamy ambient music with ocean sound textures, slow rhythm, soft piano and subtle synths.

Create a dreamy ambient music with ocean sound textures, slow rhythm, soft piano and subtle synths.

0:00/1:34

0:00/1:34

* 음원은 Suno AI 를 활용해 제작히였습니다. 이미지는 ChatGPT-4 를 활용해 제작하였습니다.

* 음원은 Suno AI 를 활용해 제작히였습니다. 이미지는 ChatGPT-4 를 활용해 제작하였습니다.

창작 - 다듬기

창작 - 다듬기

  1. 결과물 다듬기

  1. 결과물 다듬기

생성된 결과물을 어떻게 수정하고 조정해 최종 작품을 구현했는지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단계입니다.

생성된 결과물을 어떻게 수정하고 조정해 최종 작품을 구현했는지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단계입니다.

2번 항목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록하면 되는데, 이 때 중요한 것은 현재 버전에서 원하는 방향의 결과물로 다가가기 위해

2번 항목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록하면 되는데, 이 때 중요한 것은 현재 버전에서 원하는 방향의 결과물로 다가가기 위해

어떤 점을 어떻게 수정했는지, 이 과정에서 예기치 못하게 생성된 영감의 요소는 무엇인지,

어떤 점을 어떻게 수정했는지, 이 과정에서 예기치 못하게 생성된 영감의 요소는 무엇인지,

나의 생각은 어떻게 구체화 되어갔는지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나의 생각은 어떻게 구체화 되어갔는지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시)

예시)

"생각해보니 비트가 있는 것이 좀 더 좋겠어. 생성한 이미지도 음악처럼 더 따뜻하고 감각적인 느낌이 감돌게 수정해야지."

"생각해보니 비트가 있는 것이 좀 더 좋겠어. 생성한 이미지도 음악처럼 더 따뜻하고 감각적인 느낌이 감돌게 수정해야지."

[Prompt_v2]

[Prompt_v2]

원문) 몽환적인 분위기의 앰비언트 음악을 만들어줘. 바닷소리와 느린 리듬, 부드러운 피아노, 은은한 신스, 그리고 부드러운 드럼 비트가 어우러졌으면 해.

원문) 몽환적인 분위기의 앰비언트 음악을 만들어줘. 바닷소리와 느린 리듬, 부드러운 피아노, 은은한 신스, 그리고 부드러운 드럼 비트가 어우러졌으면 해.

Create a dreamy ambient music featuring ocean sounds, a slow rhythm, soft piano, subtle synths, and a gentle drum beat.

Create a dreamy ambient music featuring ocean sounds, a slow rhythm, soft piano, subtle synths, and a gentle drum beat.

0:00/1:34

0:00/1:34

* 음원은 Suno AI 를 활용해 제작히였습니다. 이미지는 ChatGPT-4 를 활용해 제작하였습니다.

* 음원은 Suno AI 를 활용해 제작히였습니다. 이미지는 ChatGPT-4 를 활용해 제작하였습니다.

창작 - 재조합하기

창작 - 재조합하기

  1. 다양한 종류의 툴을 이용해 창작하기

  1. 다양한 종류의 툴을 이용해 창작하기

AI 창작 과정에 익숙해지면서 각 툴들의 특성을 파악할 때 즈음, 이제는 하나의 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AI 창작 과정에 익숙해지면서 각 툴들의 특성을 파악할 때 즈음, 이제는 하나의 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AI 툴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여러 개의 AI 툴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예컨대, Suno AI로 제작한 음악을 MixAudio를 이용해 리믹스 하는 것처럼요.

예컨대, Suno AI로 제작한 음악을 MixAudio를 이용해 리믹스 하는 것처럼요.

이때도 전체적인 과정을 적고, 항목 2번과 3번 처럼 구체적으로 사용한 과정을 기록하면 이후 작업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때도 전체적인 과정을 적고, 항목 2번과 3번 처럼 구체적으로 사용한 과정을 기록하면 이후 작업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시)

예시)

  • Suno로 생성한 BGM을 MixAudio에서 레퍼런스로 입력하고 새로운 음원으로 생성한 후 섹션 별로 수정함

  • Suno로 생성한 BGM을 MixAudio에서 레퍼런스로 입력하고 새로운 음원으로 생성한 후 섹션 별로 수정함

  • GPT로 생성한 가사를 기반으로 Whisker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를 다시 MixAudio에서 레퍼런스로 입력해 새로운 음원을 생성함

  • GPT로 생성한 가사를 기반으로 Whisker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를 다시 MixAudio에서 레퍼런스로 입력해 새로운 음원을 생성함

완료

완료

  1. 최종 결과물에 담긴 나만의 이야기 정리하기

  1. 최종 결과물에 담긴 나만의 이야기 정리하기

AI와 함께 했지만 이 작품은 결국 일련의 과정을 통해 나만의 시선과 감각으로 완성된 창작물입니다.

AI와 함께 했지만 이 작품은 결국 일련의 과정을 통해 나만의 시선과 감각으로 완성된 창작물입니다.

타인에게 나의 작품에 대해 설명한다고 생각하고 핵심적인 내용들을 짧은 글로 정리해보세요.

타인에게 나의 작품에 대해 설명한다고 생각하고 핵심적인 내용들을 짧은 글로 정리해보세요.

아래 질문들을 참고해서 적어보세요.

아래 질문들을 참고해서 적어보세요.

  • 최종 결과물에 대한 디스크립션 또는 캡션 내용
    (작가명, <제목>, 제작년도, 유형(음원/이미지/영상 - 음원의 경우 장르도 함께 기재), 작품 길이 등)

  • 최종 결과물에 대한 디스크립션 또는 캡션 내용
    (작가명, <제목>, 제작년도, 유형(음원/이미지/영상 - 음원의 경우 장르도 함께 기재), 작품 길이 등)

  • 최종 결과물은 어떻게 완성되었고,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 최종 결과물은 어떻게 완성되었고,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 초기 기획과는 달라진 점이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어떤 과정을 통해, 왜 달라졌나요?

  • 초기 기획과는 달라진 점이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어떤 과정을 통해, 왜 달라졌나요?

  • 이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느낀 요소는 무엇이었나요? (프롬프트 이용해 창작하는 과정이 어떤 감각으로 다가왔는지에 대한 작업자로서의 나의 생각 등)

  • 이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느낀 요소는 무엇이었나요? (프롬프트 이용해 창작하는 과정이 어떤 감각으로 다가왔는지에 대한 작업자로서의 나의 생각 등)

  • 청자/관람객이 나의 작품에서 어떤 점을 경험하면 좋겠나요? 혹은 본 작품을 감상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청자/관람객이 나의 작품에서 어떤 점을 경험하면 좋겠나요? 혹은 본 작품을 감상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GiiÖii

© 금천문화재단